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연이은 북한의 도발에 어민들은 불안과 공포의 나날을 보내야했습니다. <br> <br>특히 동해안 어민들은 생계를 위협당하는 현실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저는 지금 동해안 항구인 동명항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북한의 잇따른 도발이 이곳 어민들의 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는데요.<br><br>어떤 상황일지, 현장에서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> <br>바다 한가운데서 그물을 걷어내자, 제철을 맞은 양미리가 한가득 걸려 올라옵니다. <br> <br>하지만 만선의 기쁨보다는 불안한 마음이 앞섭니다. <br> <br>북한의 미사일 도발 때문입니다. <br> <br>[이진규 / 어민] <br>"깜짝 놀랐죠. (미사일 떨어진 곳이) 바로 코앞이나 마찬가지죠. 미사일이 언제 또 떨어질지 모르니까." <br> <br>북한은 한미 연합공중훈련 기간 동안 최소 30발 이상의 미사일을 쐈습니다. <br><br>특히 지난 2일 쏜 탄도미사일은 분단 이후 처음으로 동해 북방한계선을 넘어와, 속초 동쪽 57㎞ 지점에 떨어졌습니다.<br> <br>당시 어민들은 그물도 걷지 못하고 급하게 육지로 돌아와야 했습니다. <br> <br>[이진규 / 어민] <br>"미사일이 떨어지는 바람에 조업 중단해서 그물을 못 당겼죠. 속이 천불 나죠. 먹고 살기 힘든데." <br> <br>미사일이 떨어진 지점은 홍게잡이 어선들이 모이는 해역이었습니다. <br> <br>어선들이 주로 조업하는 새벽에 떨어졌다면 대형 사고로 이어질 뻔 했습니다. <br> <br>[이금철 / 홍게 통발 선장협회 강원지부 협회장] <br>"만약 배들이 그때 상황에 있었다면 진짜 이건 사고가 안 날 수가 없는 문제죠. 그냥 뭐 총알처럼 탁 떨어지는 거 아니지 않습니까. 미사일은 파장이 크니까." <br> <br>미사일 도발로 폐쇄됐던 어장은 다시 개장됐지만, 어민들은 여전히 마음을 졸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[정명수 / 어민] <br>"남단에 사는 사람들은 북한이 도발했는지, 안 도발했는지도 모르고 그냥 뉴스에서 '아 도발했다니까 했는가 보다', 우리는 실제로 몸으로 느끼잖아 지금 여기. 심각해 우리는." <br> <br>접경지역 어민들의 안전을 위해 해양경찰도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습니다.<br> <br>[현장음] <br>"북한의 동해상 미사일 발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조업 중인 선장님들께선 비상상황 발생에 대비해 통신기 청취를 잘 해주시길 바라며…." <br> <br>해경은 저도어장에서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저도어장은 NLL과 불과 2km 정도 떨어진, 동해 최북단의 황금어장입니다.<br> <br>[한성동 / 속초해경 경비함정 함장] <br>"북 도발하든지 사태가 발생하면 일단 무전으로 어선들한테 전파를 하고. 현장으로 직접 가서 저희가 안전해역으로 남하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어민 생계도 위협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[박상현 / 어민] <br>"불안한 마음에 낚시를 40개 뿌릴 걸 30개밖에 못 뿌리는 거지. 오늘도 경비정에서 '상황이 이러니까 항시 주시해주십시오' 하고 있는데 다 못 뿌리는 거지." <br><br>계속되는 북한의 도발에 어민들은 오늘도 불안한 마음을 안고 바다로 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. <br><br>PD : 윤순용 장동하 <br>AD : 석동은<br /><br /><br />정다은 기자 dec@ichannela.com